본문 바로가기

reviewactor 돌봄교실 수업

칠보기법의 회화, 공예, 액세서리

회화에서의 칠보기법

 오늘은 다양한 칠보기법들을 통하여 표현된 순수 회화적인 창작 작품들가, 공예품, 액세서리등을 간단히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칠보의 기법들이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접목되어 불의 예술로서 독창적인 영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회화적인 칠보의 기법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유약의 선택 및 활용 방법에 따라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들이 가능하며 회화칠보 기법의 작업 과정들은 주로 동판이나 프레임의 배경에 1차적으로 유약 채색이 이루어진다. 즉 1차적으로 배경으로 유약을 올리거나 뿌린 후 1차 소성을 한다.

  • 배경의 색은 작가의 아이디어 구상에 따라 달라진다. 원색의 유약을 그대로 사용 할 수도 있고, 뿌리기 기법을 응용하여 회화적 분위기를 표현 할 수가 있다. 원색적인 표현은 한국의 전통 민화나 오방색을 이용한 작품들에 사용될 수 있다.  
  • 배경을 1차적으로 완성 한 후 불투명 유약과 동 선 작업 후 다시 유약을 올리는 작업을 할 수 도 있다.
  • 다양한 형태의 동판 프레임을 이용하여 독창적인 표현을 할 수 도 있는데, 많은 색의 유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화려하지는 않으나 은은한 멋이 풍기는 작품들을 만들 수도 있다.
  • 다음은 원하는 싸이즈로 동판을 재단 한 후 여러가지의 유약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그 위에 또다른 형상들을 동판이나 은판에 디자인하여 전용 톱으로 오려내고 유약을 올려 구어 내는 작업과정을 거치는 독창적인 작업도 가능하다. 아래의 작품은 본인이 한 것으로 지구와 사람의 형상을 줄질하여 오려 낸것이다. 그 위에 투명 유약을 올린 후 1차로 구워 내었고, 배경 판은 불투명 유약을 두껍게 뿌렸으며 다량의 알갱이 유약으로 주변을 구성하여 구워내어 완성 된 것이다. "쏟아지는 빛"과 어두운 세상을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가 희망의 빛으로 지구를 품어 안으려는 모습을 형상화 한 "얼" 이라는 작품이다.     

칠보회화기법의 "얼"

공예, 액세서리에서의 칠보기법

 보석함, 다양한 용도의 기물, 아름다운 도자기등을  제작할 수 있다. 인테리어 소품으로서 기물의 형태를 만든 후 산수화 등을 칠보 유약으로 채색한 후에 구워내어 여백의 미를 살리기도 하는 등 응용작품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레이징기법, 상감기법 등을 이용하여 도자기작품을 만들 수 있다. 액세서리로는 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모양을 디자인하여 틀 을 만든 후 작가의 아이디어에 맞는 유약을 채색하고 구워내어 완성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이나 기법들은 창의적인 영역이므로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

  • 단색칠보로 색상을 대비시킨 다음 진주 등의 준보석을 사용하여 액세서리를 만들 수 있다.
  • 비녀, 노리개 등 전통적인 것들에 현대적인 요소를 접목하여 금박칠보 기법,유선칠보기법 등으로 장신구를 표현해 볼 수 있다.
  • 은판, 은선을 활용하여 투명유약작업을 할 수 있다. 이런 작업들은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세공작업 과정을 거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