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시경과 서경

1. 시경

  경이란 무엇일까? 경전이라는 뜻이겠지요. 성경은 성스러운 경전이라고 하고 하나님의 말씀의 기록이라고 볼 수 있다. 시경은 시의 경전이라고 할 수 있다. 시에 관한 기록으로 시를 통해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알 수 있게 된다. 시경을 통해서 우리는 고대 중국인의 사상을 알 수 있고 인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 있게 된다. 시경은 사대 성인 중 하나인 공자가 편찬한 거룩한 경전이다. 시는 하나의 교화의 수단으로 교화를 통해 백성들을 올바르게 이끌려고 했던 것이다. 시경은 공자가 편찬한 잭으로 매우 신성한 책으로 현실을 비한 유교의 거룩한 경전이고 후세 사람들을 위해서 남겨 두었다. 시경은 단지 문학작품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생활에서 효용성을 갖는 작품이다. 시경을 공자는 논어에서 한마디로 줄이면 '사무사 (思無邪)'로 요약하고 있는데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시의 내용에 사악함이 없고 사악한 감정이 들어가 있지 않다는 뜻이다. 시는 진실한 감정을 노래하고 순수한 감정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인성의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매일 시경을 읽고 묵상하게 된다면 우리는 인격적으로 성숙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공자는 논어에서 자신의 제자에게 어찌하여 시경 시를 배우지 않느냐고 질문하면서 시는 감정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모습을 보고, 태평한 사회, 잘 통제하고 백성들의 풍속을 살 필 수 있고 우리를 살펴볼 수 있는 거울이 되고 있다. 시경의 시를 통해서 다른 사람들과 교제도 할 수 있고 지배층은 시를 통치의 수단으로 삼을 수 있다.

2. 시경의 효용성

  시경 305편을 한 단어로 요약하자면 생각에 사특함이 없다고 했다. 시경은 교화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정치의 수단이고 외교의 수단이었다. 시경 삼백편을 외운 사람에게 정치를 맡겼을 때 통달하지 못하고 정치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사방의 여러 나라에 가서 전문적으로 응대하지 못한다면 비록 많은 시를 외웠을지라도 아무는 쓸모가 없다는 것이다. 과거에 시경 시는 외워서 외교사절이 시를 읊조리면서 서로 화합을 꾀하는 점에서 시의 효용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치세 지음이라는 말이 있듯이 음악은 나라를 다스리는데 필요한 것이다. 음악이 편안하고 즐겁게 느껴지게 한다면 그 정치는 조화롭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난세의 음악은 어지러운 세상의 원망하고 노여워하고 화가 난다. 그 정치는 어그러지고 망한 나라의 음악은 슬프면서도 걱정과 근심이 가득 찬 감정이 들어 있고 그 백성들은 곤경에 빠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득과 실을 바르게 하고 하늘과 땅을 움직이고 귀신을 감동시키는 시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시경보다 더 효과적인 것이 없다. 정치를 잘한 선왕들은 시경의 음악이나 시로 부부 사이를 다스리고 효도와 공경을 이루고 인륜을 두텁게 하고 교화를 아름답게 하고 풍속을 좋은 쪽에 바꾸었다. 시를 통해 풍속을 좋게 만들었다.

  시경의 시들은 원래 노래가사이기 때문에 음악과 시는 분리될 수 없다. 중국에서 시경은 어떤 식으로 보았는지 중요하다. 시는 단순한 감정의 표현이 아니라 사회를 올바르게 통치하여야 한다는 내용의 관념이 굳어진다. 시는 사회에 어떤 기능을 끼치는가?라는 질문은 시의 사회적 기능을 중시하고 있다. 위정자들은 혼란에 빠진 백성들의 생각이나 탐관오리를 비판하는 시를 통해서 사회를 교정하는 수단이 된다. 중국 고전시를 읽는 정신적 지주인가? 시는 사회를 위해서 이바지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시경 시는 4언시라고 부르는데 1장 2장 3장의 중요 개념만 바꾸어서 표현한다. 중복해서 읊조리며 노래한다. 시경은 청나라 때 학자들에 연구가 많이 되었는데 한나라 때부터 지금까지를 고문 상서라고 하고 진짜 시경으로 받아들여져서 연구가 되었고 후세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시경과 다른 서경은 정치 책으로  서경은 역사서로 군자가 어떻게 통치할 것이가? 가 서술된 책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원리가 들어 있다. 서경은 서주 시대 사관이 남긴 기록으로 공자가 시경 서경을 편찬하였다. 공자가 춘추를 저술한 이유는 후세에 경게하기 위한 자료로 남겨졌다. 공자의 학문적 업적이 얼마나 대단한가를 알 수 있다. 이런 인류의 문화유산이 길이 보존되고 읽혀야 할 것이다.

  공자는 노나라 사람이지만 주공의 좋은 섭정 때문에 주나라와 똑같은 문화적 특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주나라 왕실의 모든 문불미 노나라에 갖추어져 있고 특권을 누리게 되었다. 중국 고대 봉건사회의 계급 구조를 한편 살펴보면 신분에 따른 특권이 아주 뚜렷함을 알 수 있다. 경은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윗자리이고 대부는 이조 판서나 형조 병조 판서이고 사는 정책을 집행하는 집정관이다.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종  (0) 2021.05.06
  (1) 2021.05.06
정변설  (0) 2021.05.06
감정 표현의 수단인 시  (0) 2021.05.06
서양문명과 스토리텔링  (0) 2021.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