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란 무엇인가?
예란 무엇인가? 예란 한자로 禮로 예절이라는 뜻이다. 예절이란 하나의 질서로 사화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지켜야 할 도리나 도덕 규범이라고 할 수 있다. 논어에서 예라는 개념은 74번이나 나오고 있다. 중국 봉건주의 시대인 주나라의 정치제도의 핵심은 '왕도'즉 예를 통한 통치라고 볼 수 있다. 예는 현실정치를 표방하는 유교의 사상적 개념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중국의 예의 나라로 사단이나 오상으로 오상은 인의 에지 신으로 축약되며 예는 사물의 본체라는 주장이다. 예는 예절, 예법, 예의로 도덕적 측면에서는 수양과 연관되어 있고 사회적 측면에서는 예절 정치적 측면에서는 신분의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예는 사회 예절을 포함한 예절이고 정치 치국평천하라는 정치 이념을 포함한 의미에서 예법이고 도덕적 측면에서 예의 도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인격 수양과 입신과 연관되어 있다. 예는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에 전반적으로 통용되는 단어이다.
선진시대예의는 풍부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인륜, 천도, 정치, 사회, 문화를 포함해서 다방면에 기본 정신이다. 예의는 선진시대에 통용되는 주요 개념으로 구체적인 예절, 예모, 예의 형식을 뜻하고 있다. 중국은 예의 지방이 되었다. 예의는 중화 민족의 우수한 전통문화의 하나로 광범위하게 사용된 개념으로 중국의 문화 품격을 지닌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예의는 하나의 구체적인 의식으로 예의는 중화 민족을 특징지을 수 있는 풍부한 개념이다. 중국의 품격을 나타내는 예의는 예치, 예의는 공자와 맹자 등 유교학자들이 가장 강조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2. 악이란 무엇인가?
고대 중국의 악의 개념은 지금 우리가 말하는 음악의 개념과는 너무 다르다. 중국의 고대 악기는 금쟁 비파 공후 편종 경 고 소 생 저 등 자연적인 재료로 만들어진 악기들이다. 중국 악기의 재료를 흔히 팔음이라고 하는데 금, 석, 토, 혁, 현, 목, 포, 죽이 그 재료이다. 금속으로 만들어진 악기는 종이나 나라하고 석으로 만들어진 악기는 석경이라 하고 흙으로 만들어진 악기를 훈이라 하고 혁으로 만들어진 악기는 고, 나무인 목으로 만들어진 악기는 축, 어이고 포로 만들어진 것은 생화이이고 죽으로 만들어진 악기는 소이다. 편종의 배치나 악기의 사용은 중국 계급이나 신분을 표시하는 대표적인 수단으로 통치 계급은 음악을 하나의 통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악의 사용 자료인 시경은 풍부한 음악 사용의 내용을 볼 수 있다. 음악 고고학은 고대 인류 문화유산인 악기를 연구하게 된다. 인류 역사의 진정한 발전을 볼 수 있는 것은 음악사의 한 지류의 연구를 통해서 그 발차 쥐를 더듬어 갈 수 있다. 고대 중국 악기가 대량으로 출토된 증후 을묘는 분명히 중국 예악 문명의 장경을 볼 수 있다.
시경은 하나의 노래 가사이지만 시경의 시들을 통해 우리는 악기의 사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시경을 연구하는 목적은 통치 계급이 어떻게 음악을 이용했으며 음악의 발전이나 사용의 용례를 알 수 있게 된다. 고고학은 인류 문화와 사회 발전의 변화 과정을 보는 것이다. 인류가 남겨 놓은 유산 문화 음악 등을 통해 그 안에 포함된 정신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의 내재적 발건 규율을 보게 된다. 서주의 악제는 문헌 속에서 사라졌지만 음악 고고학에서 악기의 발견을 통해 서주의 예악 제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서주 공동 제제 예악은 신형 악기 용종이 있다. 용종은 편종의 종들 가운데 제일 아래에 배치되는 커다란 종일 수 있다. 악 제도는 국가적 측면에서 시행되는 제도로 은나라는 상나라의 예악 제도를 본받고 계승 발전했다. 주나라는 상대에 예악 제도를 본받아 더하고 뺏다. 종묘 제사의 가무 곡 가사의 내용은 선조의 업적을 찬양 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편종 하나만 보더라도 음악으로 다시리는 정치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다. 국가의 의식 행사에서 의식이 진행되었고 음악 유적의 발자취를 따라갈 수 있다.
음악은 무형의 유산으로 악보는 없지만 구전을 통해 전달되고 있다. 악기 유적을 통해 주나라의 생황 방식이나 정신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악 예를 중시하는 사회로 고대 주나라는 예악을 떨어질 수 없는 하나의 문화 양식으로 보아야 한다. 주나라 사람들에게 사람과 악기가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알 수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음은 규범으로 국가가 음악을 관장하고 음악은 하나의 교류수단임을 알 수 있다.
Tip: 중국 고대의 예와 악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기 (0) | 2021.05.06 |
---|---|
편종 (0) | 2021.05.06 |
시경과 서경 (0) | 2021.05.06 |
정변설 (0) | 2021.05.06 |
감정 표현의 수단인 시 (0) | 202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