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악기의 발견
악기의 형상, 성능, 음질, 음색, 감성적 인식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 고대 중국의 귀족 묘에서 중소형 묘장에서도 편종과 편경이 발견되어 고대 악기 문화의 형상을 알 수 있다. 이런 악기 문물은 인류의 문화 활동 중 창조적 대표적 물질문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악기는 향기(响器), 예기(禮器), 악기(樂器)라 나뉘는데 민간의 황종 음고가 표준을 얻게 된다. 대성종의 악기 기능은 각 편종 음역 완성하는데 대성 종의 율기 기능은 유익한 통일 도량형과 연관되어 있다. 향기는 소리가 나는 귀, 뼈로 소리 나는 악기이다. 예기는 신분, 등급을 상징하게 된다. 악기는 연주 음계, 선율과 연관되어 있다. 율기라는 것은 악기의 율을 맞추는 것인데 종고의 악기는 왕이나 귀족들이 사용하는 대성, 대화이다. 발음이 되는 발음체가 악기가 되어 소리를 만들어내게 되는 도구가 된다. 골제가 소리 내는 악기가 되어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증후 을묘에서 편종이 출토되면서 음악 고고학에 대한 새로운 전기를 일으켰고 악기의 조합 편성을 알게 되었다.
편경은 지하의 음악 전당으로 증후 을묘에서 발견된 것으로 고대 중국의 음악 문화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악기이다. 편경은 돌로 만들어진 타악기로 고대 중국에서 연주된 타악기 중의 하나이다. 이런 편종과 편경과 함께 고대 중국의 대표적인 악기는 금이다. 금은 원래 5줄로 되어 있었는데 주나라 문왕과 무왕의 성덕을 기리기 위해 7줄로 만들었다.
금과 슬은 항상 선진 시대에 함께 사용되었는 악기의 일종이다. 시경의 첫 번째 시인 관저 편에 '금슬 우지'라는 시구절이 있다. 이것은 부부간의 화합을 표현하고 있는데 슬은 25줄로 이루어져 있는 악기이다. 생은 고대 대나무로 만든 악기이다.
중국인에게 음악은 생활의 일부였고 정치적 목적도 있었고 신분을 상징하는 수단이 되었다. 예를 알고 음악을 만들어 예교를 만들고 완성된 예악 제도에 따라서 사회 등급이나 귀천의 인과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예란 원시 종교의식과 송신 기복의 활동의 규정이다. 예 원형은 사람이 신에 기복을 구하는 일종의 원시적 종교의식 헌제 송신 신을 부르고 기복을 구하는 모든 활동이다 예의 건축은 종묘이다. 예의 건축으로 종묘는 제사를 지내고 하는 예기가 출토되었다. 예는 기본으로 사회를 운영하는 것으로 예는 질서와 신분의 사회 제도로서 열정 (列鼎) 솥을 사용하는데 그 신분을 표현하였다.
Tip: 중국 악기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만과 헤겔 (0) | 2021.05.07 |
---|---|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0) | 2021.05.06 |
편종 (0) | 2021.05.06 |
예 (1) | 2021.05.06 |
시경과 서경 (0) | 202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