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예악 제도

1. 고대 중국의 음악 제도

  왜 우리가 중국의 음악 제도를 알아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우리 문화는 중국의 문화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주나라의 예악 제도는 한국의 조선시대에 국가를 치세하고 백성을 교화하는 수단이 되었다. 중국의 예악 제도의 모습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중국의 문화나 제도는 우리에게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중국을 앎으로서 우리나라에 깊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고대 중국을 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악현 제도, 악기의 조성, 편성 배치를 알아야 한다. 이런 고대 중국의 예악 문화를 알기 위해서는 시경을 보아야 할 것이다. 시경은 고대 중국인의 생활상뿐만 아니라 악의 문화를 알 수 있는 문학 작품이라는 것이다. 고대 중국인은 자연을 찬미하고 자연을 보고 느끼는 감정을 시로 표현하는 것이다. 시경의 한국 전문가는 김학주 씨이다. 김학주 씨는 '무릇 시가의 시초는 우리 인간이 자연을 찬미하고 신령을 총 축하기 위하여 제사드리고 기도드리는데에서 비롯하였다. 인류는 문자가 있기 전에 있었고 이 언어만 있을 때부터 이미 노래와 춤은 거의 연대물이 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이른바 천지신명에 대하여 축제를 올려 소원과 감사를 드릴 때에도 그 어떤 일정한 형식으로 장단에 맞추어 춤추고 노래 부르고 빌었었다. 원시의 신에 대한 찬미가 원시 종교의식이 예와 연관되어 있다. 예악 제도는 천지신명께 기도드리고 제사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예를 중시하고 악을 중시하는 예악 제도가 자연스럽게 제정 될 수 있었다.

  시경은 원래 시 혹은 시 삼백등으로 불리어졌으나 한대 와서부터 그것이 공자의 손을 거쳐 정리되었다고 하여 이를 높여서 경자를 붙여 부르게 된 것이다. 시경은 대체로 채시 진시 헌시 등의 방법에 의하여 수집되었다. 시경 305편을 그 내용에 따라 분류한다면 풍 아 송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풍은 또 나라에 따라 주남 소남 패 용 위 왕 정 제 위 당 진 전 회 조 빈의 15 국풍으로 나누어지면 아는 대아와 소아로 송은 주송 상송 노송으로 나누어진다. (김학주, 중국 문학사, 범학 도서, 1975. pp. 52-55) 시경은 고대 중국의 음악 문화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문학작품일 수 있다. 주남의 첫 번째 시 관저에서 3연과 4연을 살펴보도록 하자.

 

관저

 

올망졸망 마름풀을

이리저리 뜯으며

얌전하고 아리따운 아가씨를

금슬좋게 사귀네.

 

올망졸망 마른풀을

이리저리 가려내고

얌전하고 아리따운 아가씨와

풍악을 울리며 즐기네.

 

窈窕淑女(요조숙녀)

琴瑟友之(금슬 우지)

參差荇菜(참치행채)

左右芼之(좌우모지)

窈窕淑女(요조숙녀)

鐘鼓樂之(종고락지)

 

3연과 4연에서 볼 수 있듯이 종고락 지라는 말은 종과 고를 쳐서 풍악을 울리며 즐기네라는 말이 있듯이 종은 고대 중국 문화를 대표하는 음악 도구이다. 종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 고대 중국의 음악 문화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춘추 전국시대의 묘인 증후을묘에서 편종이 발견되면서 고대 중국에서 편종이 얼마나 음악 문화의 주를 이루는가를 알 수 있다. 음악 고고학은 고대 문화의 유적과 유물을 조사 발굴하는 것으로 예악 문명의 문화를 알 수 있게 한다. 인류의 물질문화는 이런 묘에서 발굴된 악기 예기에 등에서 악기 예기 제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예악 문명은 중국 고대의 문명의 중요한 조성 부분이다. 예는 음악을 만들어 예고 알고 형성되고 완성된 예악 제도는 사회 등급의 귀천의 인과 관계나 사회 등급 질서를 보여주고 있다.

 

Tip: 예악 제도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와 악  (0) 2021.05.08
오아시스길  (0) 2021.05.07
실크로드  (0) 2021.05.07
영화속 심리 이야기  (0) 2021.05.07
루만과 헤겔  (0) 2021.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