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의 기원
중국은 예의 지방으로 질서를 강조하면서 또한 화합을 중시하는 화하 민족이라고 한다. 화하(華夏) 사상을 중용을 중시하고 질서와 화합을 중시하는 사상이다. 중국은 5천 년의 역사를 지닌 국가로 한국이 동방 예의 지국이라고 칭하는 것처럼 예의 (禮儀)의 나라로 예와 의가 중시되는 나라이다. 예를 딱딱하고 엄격한 질서를 의미하고 행동 규범이고 신분 질서가 명확한 개념이다. 그러나 이런 예와 달리 악(樂)으로 노래와 무용과 음악이 함께 어우러져 의식에서 행해지면서 공동체 구성원 간의 조화를 이루게 하고 있다. 고대 중국의 은, 하, 주의 삼대는 예를 제정하여 일상생활에서 모든 분야에서 지켜져야 할 질서이다. 박이문 학자는 예를 인과 연관시키고 있다. 공자는 인을 착한 심성을 극기복례하고 하였다. 착한 심성은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이다. 피아니스트가 피아노를 잘 치기 위해서 수백동일한 것을 연습하듯 예 역시 우리 몸에 배도록 훈련과 실천을 거쳐야 한다.
예의 제도는 중국 고대 사회의 도덕 규범으로 누구나 사람과 사람 사이의 예절 의식이고 사회 행위의 표준이 되었고 사람과 사람 관계의 예법을 규정하고 사회 통치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정권 유지와 연관되어 있다. 선진시대 중국 고대 예제는 매우 중요한 관계로 하대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상대에는 제사 의식이 중요시되어 주대에까지 지속되었다.
고대 중국 특히 주나라에서 주공은 예악 문화를 완성시켰다. 예를 제정하고 악을 만들어 예교와 학교를 형성하여 예악 제도를 제정하였다. 예는 사회 등급이나 귀천 관계, 사회 등급이나 질서를 표현하는 것이고 모든 의식이나 인간관계에서 지켜져야 할 규범이다. 예는 원래 원시 종교의식 헌제, 송신, 기복 활동의 규정이나 의식을 진행하는데 마땅히 지켜야 할 규범이다. 이런 예는 대문구 문화나 용산 문화의 묘에서 대량의 예기, 옥기들이 출토되어 그것을 입증하게 되었다. 예의 원형은 고대 사람들이 신에 기복을 구하는 원시종교의식으로 제물을 바치고 신을 부르고 기복을 구하는 모든 활동이다. 예의 하나의 표시로 종묘를 지어 제사를 지내는 것이었다. 예의 건축물인 종묘는 예의식을 지냈던 건물로 제사에 사용되었던 예기, 옥기의 출현이 예와 의식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2. 예와 악
논어 위정편에서 예의 존재는 하례, 은례, 주례의 존재를 설명하고 있다. 논어 일무 편에서 예란 의식과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는 신분 고저를 나타내는 것으로 서주 초년 주공이 개조한 것으로 예는 사회의 전장 제도이고 귀족 사회의 생활과 국가 정치 방면에서 작용되었던 수단이다. 예악은 주문 명의 상징이다. 고대 주나라의 등급의 표시는 다량의 청동기인 정 (鼎)의 사용에도 분명하게 등급이 정해져 있다. 이런 정을 사용함에 있어서 왕은 9개의 정을 사용하고 경은 6개, 대부는 3개, 사는 1개 등을 사용하여야 함이 법에 명시되어 있다.
악은 원시 종교의식에서 사용한 신을 보시고 송신, 헌제 때 무와 음악이 사용되어 신과 통교를 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악은 원시 종교의식에서 보조성의 역할을 하며 신을 부르고 신을 기쁘게 하기 위해 무와 악의 형식으로 표현되는 하늘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악은 하늘에게 경의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앙소 문명에는 도훈, 골 적, 도령, 도고 등이 사용되었고 용산 시대에는 석경, 도고, 도사, 도령, 도구초, 골초, 골구 현금이 사용되었다. 하대에는 도훈, 동경, 옥고, 석경 등이 사용되었다. 하대에서는 도훈, 동경, 동박, 종고 등이 사용되었다. 주대에는 편종, 편경, 금과 슬, 황, 배소 통고 등이 사용되었다. 이런 악기의 발견으로 고대 중국에서 악이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는지 알 수 있다.
Tip: 고대 중국 사회는 엄격한 예를 중시했지만 악을 통해서 화합의 사회를 이루려고 했다.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중국의 음악 문화 (0) | 2021.05.08 |
---|---|
정(鼎)제도 (0) | 2021.05.08 |
오아시스길 (0) | 2021.05.07 |
예악 제도 (0) | 2021.05.07 |
실크로드 (0) | 2021.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