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해석학

1. 성경의 해석학 

  오늘은 송무현 목사님의 해석학을 공부하게 되었다. 내가 과거에 미국에서 신학 공부를 했지만 한국어로 강의를 하고 성경을 알고 싶은 목마름이 강해서인지 목사님의 강의가 쏙쏙 들어왔다. 송 목사님의 네팔 신학생들에게 해석학을 강의하시는데 내가 청강할 수 있게 해 주심에 감사드린다. 우리는 책을 읽을 때 저자가 의도하는 바를 해석하려고 한다. 우리는 자신의 이해력이나 경험에 따라서 무슨 저자이건 무슨 책이건 해석을 하면서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 우리가 이성적으로 책을 해석하고 의미를 추구하면서 지식을 넓혀가게 된다. 하지만 성경은 일반 책과는 다른 해석학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성경은 교회에서 하나님의 말씀으로 보고 해석을 하게 된다. 이런 해석학에서 알아야 할 것은 문단식으로 설명을 하는 exposition으로 전개인데 설명이라고 여기면 된다. 둘째는 interpreter로 구절과 구절과 단어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고 exegesis는 해석이라는 뜻으로 강해되고 주해한 내용들이 어떻게 오늘날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성경에 대한 해석학이라 할 수 있다. 일반 책들과는 달리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이성적으로 해석하는 것보다는 성령의 역사하심을 통해 우리가 주해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에 성경이 역사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해석하기 쉽지 않다. 성경은 과거에 기록된 책이다. 1500년 전에 기록된 책으로 하나님의 말씀으로 우리가 지금 읽고 해석을 할 수 있고 감동이나 은혜를 준다는 것은 성령의 임재하심과 활동으로 보아햐 한다. 성경은 우리들의 역사라기보다는 이스라엘의 역사로 과거에 기록된 그 당시의 언어의 의미를 공부해야 한다.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39명의 전자가 성경을 기록한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이 제일 저자이고 인간은 제2의 저자로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성경은 진정한 책이다.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로 집약될 수 있고 성령의 감화를 받아 인간이 기록했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2. 성경 해석자의 자질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해석할 수 있는 자질들은 무엇인가? 를 깊이 생각해보자. 우리는 육적으로 태어났지만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있기 위해서는 영적으로 재 탄생되어야 한다. (born again). 영적으로 새로 태어나지 않고 거듭나지 않고서는 성경을 해석할 수 없는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하고 전하기 위해서는 성령께서 감동을 주지 않는다면 해석할 수 없게 된다. 예수가 죽었다는 것은 비신자도 믿을 수 있겠지만 예수의 부활이나 승천 등은 성령이 사역하지 않는다면 믿기 불가능하게 된다. 성경을 해석할 수 있는 자는 성령의 함께 하면서 새로운 영적인 눈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성경 해석자는 성령이 함께 할 뿐만 아니라 인격적으로 균형잡히고 건전한 시선과 마음을 소유하는 자야 한다는 것이다. 성경을 해석할 수 있는 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알고 이웃에게 전하고자 하는 열정이 존재해야 한다. 열정이 넘치는 자만이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있게 마련이다. 성경을 해석하려는 사람은 하느님 말씀에 목마를 뿐만 아니라 기도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 기도를 통해 얻는 지혜를 통해 하나님 말씀을 깨달을 수 있게 되어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경을 어떻게 배울 것인가? 성경을 어떻게 가를 칠 것인가? 은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하나님 말씀을 이해하고 해석되어야 한다.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 하나님의 말씀이 감동적으로 다가와 이해가 깊어져 이웃에게 전파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겨나게 된다. 무엇보다다 마음을 개방하고 진심과 열정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일고 성령의 인도하심과 감동에 빠져야 할 것이다. 매일 묵상하고 기도하고 하나님에 들려주시는 말씀을 듣고 성령이 강력하게 다가오도록 해야 한다. 

 

Tip: 성경을 해석하는 자는 영적으로 새로 태어나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야 한다.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저자  (1) 2021.05.11
영화 제작의 첫걸음  (0) 2021.05.11
자존감  (0) 2021.05.10
심리이야기  (0) 2021.05.09
정신 건강과 자존감  (0) 2021.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