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actor 돌봄교실 수업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칠보기법의 회화, 공예, 액세서리 회화에서의 칠보기법 오늘은 다양한 칠보기법들을 통하여 표현된 순수 회화적인 창작 작품들가, 공예품, 액세서리등을 간단히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칠보의 기법들이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접목되어 불의 예술로서 독창적인 영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회화적인 칠보의 기법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유약의 선택 및 활용 방법에 따라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들이 가능하며 회화칠보 기법의 작업 과정들은 주로 동판이나 프레임의 배경에 1차적으로 유약 채색이 이루어진다. 즉 1차적으로 배경으로 유약을 올리거나 뿌린 후 1차 소성을 한다. 배경의 색은 작가의 아이디어 구상에 따라 달라진다. 원색의 유약을 그대로 사용 할 수도 있고, 뿌리기 기법을 응용하여 회화적 분위기를 표현 할 수가 있다. 원색적인 표.. 칠보의 다양한 표현기법 유약 사용을 위한 도구 작업을 위하여 동판이나 은판, 또는 프레임 등에 올리기 위해서는 채색도구들이 필요하다. 붓은 유약을 입힐 때와 C.M.C를 바를 때 사용한다. 붓의 뒷부분을 이용하여 유약을 뜨기도 하고, 유약을 고르게 펴 주기도 해야 하므로 뒷부분이 사선으로 된 것이 활용도가 좋다. C.M.C는 유약을 입힐 때 잘 떨어지지 않게 사용하는 풀로서 분말상태의 풀을 물 1리터에 0.1g~1g을 타서 사용해야 한다. 너무 많은 양을 넣거나 잘 풀어져 있지 않으면 구울 때에 기포가 생기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기준대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업 도구중 하나로 중요한 '체'가 있는데 이것은 유약을 뿌릴 때 사용하는 것으로 보통 80메쉬 정도의 유약을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사용 용도에 따라서 ..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기법들 동양의 칠보 역사 비잔틴 시대에 번성했던 칠보공예는 실크로드를 거쳐서중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에서 전파되는 계기가 되었다. 동양의 칠보는 기원전 5세기경 서구에서 발달된 칠보공예가 비잔틴 또는 아라비아를 거쳐 실크로드를 통하여 중국과 한국을 거쳐 일본에까지 전하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고대 칠보의 역사는 장구하며 만한 우수한 공예유품을 많이 남기고 있다. 하며 청색 한 가지 뿐이었다. 그 후 칠보는 점차 번성하기 시작했으며 7세기의 것으로 평양 근교의 유적과 금강사지에서 발견된 녹색칠보 은제 장식이 있다. 중국의 칠보공예 기법은 서구의 칠보공예 기법을 벗어나 도자기를 소성하는 것과 같은 특이한 기법을 연구하여 유선칠보를 창안하였다. 칠보를 불랑감(佛郞坎), 대금요(大金溔), 귀국요(鬼國窯), 양자(洋.. 드로잉-패션일러스트레션 표현기법 현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표현 기법은 다양하고 제작 방법에 있어서도 재료의 사용에 따라서 시각적인 감정이 다르게 전달되며 작가의 주제 의식을 표현하고 대중에게 차별화된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이러한 독창적인 방법을 통하여 주제의 효과적인 전달과 메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표현 기법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선택의 안목이 필요하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기법은 평면적인 기법과 입체적인 기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평면적 표현방법 평면적 표현 기법은 어떠한 대상에 대한 이미지 표현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핸드 드로잉, 판화기법, 수묵기법과 사진과의 합성, 컴퓨터 그래픽 등의 방법이 있다. 핸드 드로잉(Hand-drawing)기법에서 핸드 드로잉의 표현.. 드로잉,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오늘날 현대미술로서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현대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과거의 드로잉에서 벗어나 순수회화의 기법들과 사진, 컴퓨터그래픽과 같은 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새롭고 창의적인 기법들을 구현하고 있으며, 동시대의 패션 메세지를 전달하는 하나의 시각 예술매체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의상 제작을 위한 청사진 이지만 하나의 독자적인 예술영역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현대의 각 국가는 자국 문화의 정체성과 독창성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각 분야마다 가장 한국적인 것에 대한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단순히 과거의 전통에서 기법을 재현 한다거나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전통 안에 내재되어 있는 고유한 사상과 정서를 바탕으로 현 시대의 흐름에 맞는 미의식의 재발견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