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우주의 본질
동양인은 천, 지, 인이 하나되는 인내천 사상이 깊이 우리 안에 스며들어 있다. 우주적인 부분은 천지인으로 천은 파랑의 색깔을 띠면서 물을 상징하고 치는 빨강의 색깔이고 불을 상징하고 인은 노랑으로 흙을 상징한다. 물을 자연을 상징하고 불은 문명과 연관되어 있고 흙은 인간과 연관되어 있다. 이런 천지인을 이용해 연극에거 하나의 장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동일한 시간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행동이나 사건을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은 공간 우주에 있는 물과 가깝지만 행동은 인간과 가깝다. 우리가 살아가는데 중요한 돈, 권력, 종족 번식, 돈먹이, 권력은 자기 인정과 연관되어 있다. 종족 번식은 본능과 깊은 연관이 있는데 인간이 가지고 있는 권력 시기 질투 감정이 나온다. 권력에 대한 부분과 연관되어 지배욕심이 들어가면 감정이 나오게 된다. 이런 원리는 삼원색의 원리와 연관되어 있는데 파랑이 주는 인간적 본능과 연과되어 있는데 파랑은 하늘 바다로 엄마를 상징할 수 있다. 포근한 엄마의 소리가 품어내는 소리는 땅의 소리와 연관되어 있다ㅓ.
배우들은 자신의 감정을 찿아 파랑에다 노랑을 섞어 감정을 나오게 할 수 있다. 베우는 자신만의 기준을 찾아 내려고 훈련을 해야 한다. 소리와 리듬을 파고 들어가면 자연의 법칙, 우주의 법칙이 연관되어 있다. 시간과 공간 행동은 나라는 시간은 성격과 연관되어 있다. 공간은 배경읻고 그 시간에 따른 공간은 성격과 배경에 의해서 만들업진다. 시간은 성격이고 공간은 배경이다. 그 시간에 따른 공간은 성격과 배경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행동이 나오게 된다. 우리는 짓눌리는 공간으로 해방될 수 있을까? 시간과 공간 안에서 행동이 나오게 마련이다.
연극은 이야기를 무대에서 보여주는 것인데 이야기는 행동에 가낍다. 지금 여기에서 벌어지는 일은 연극적 행위이다. 연극은 현장성과 연관되어 있다. 시간과 공간을 연극에서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그리고 그 안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시간은 가능한가? 과거, 현재, 미래 공간은 점, 선, 면으로 조화를 만드는 것이다. 현재에서 시간안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지는 것은 극적이다. 연극에서 과거의 인물을 투입하여 극적인 이야기를 무대화하는 것이다. 극적인 것은 현실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것도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연극에서는 과거의 인물도 집어 넣고 공간도 왔다 갔다 하면서 이런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댜. 시간과 공간 상황은 성격에 가깝고 감정을 찾아내는 훈련이 필요하다. 소리와 움직임을 가지고 감정을 찾아내야 한다. 배우는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경험이 많은 사람은 상황 판단을 잘 할 수 있게 된다. 경험이 많은 배우는 상황 판단을 잘하기 때문에 대 다양한 훈련을 통해 나를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할 줄 알아야 한다. 나라는 인간은 인간으로서 나, 사회 속의 나로 볼 것인가? 기본적인 부분이 바탕이 되어 소리와 움직임을 통해 감정을 찾아내는 훈련을 해서 장면을 만들어 내어야 한다.
2. 연극 언어
우리만의 연극적 언어를 창조하는 것은 배우의 역할이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성과 환경이 뒤섞이면서 문화가 생겨나게 된다. 우리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던 삶의 생존 본능이 문화이다.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것은 이성과 감성에 따라 살 때이다. 감성은 자연의 섭리를 닮았고 식물도 동물도 살아 있느 것이다. 살아있는 모든 것은 움직이는 무언가가 있기 마련이다. 우리가 좋은 에너지를 주면 식물은 사랑을 받은 인간처럼 더 잘 자라날 수 있다. 무엇이든지 좋은 에너지에 반응하는 것을 보면 우리의 감정도 이런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감정은 자연의 섭리와 관련되어 있는데 모든 것은 감정이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감정은 자연의 섭리에 관련된 인간의 감성은 움직일 수 있는 사랑과 연관지어 봐라. 단어를 통해서 주는 것 사랑하는 말 자체에 익숙해져서 사랑이란 이런거다 호감적인 마음, 단어 자체가 주는 것에 스스로 느끼는 감정이 있다. 소리로 사랑을 표현한 말로 몸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단어 자체가 주는 단어 안에 느끼는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우리는 감정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학하게 된다. 먼저 대사를 통해서 우리가 표현할 수 있지만 신체적 언어를 통해서 표현하게 된다. 우리가 신체적 언어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내면에 무언가를 의식하고 외면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내면의 감정을 겉으로 표현할 때 관객들은 그 감정을 느껴 감정이입하게 될 것이다. 내면적인 소리가 겉으로 표현되어 외면화 할 때 관객들은 더욱 감정이입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배우는 내면의 감정을 외면화하는 방법을 배워서 관객들이 몰입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연극 언어는 일상의 언어와 달리 극적인 모습이 겻들여져야 한다.
'reviewactor 미학으로 보는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과 팀브로(Timbro) (0) | 2021.05.03 |
---|---|
성대 사용과 호흡 (0) | 2021.05.03 |
연극과 소리 (2) | 2021.05.02 |
연극과 소리 (0) | 2021.05.01 |
그리스 연극 (0) | 2021.04.30 |